관공선 109척, 2025년까지 LNG 등 친환경선박 전환 | |||
---|---|---|---|
본문[에너지신문] 해양수산부가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관공선 109척을 LNG 등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 이는 2030년까지 관공선 140척을 모두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해수부의 ‘2030 친환경 관공선 전환 계획’과 일맥상통한다.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16일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를 포함한 ‘해양수산 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전략’을 추진하면서 친환경선박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친환경선박법’에 따라 공공부문에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친환경 선박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민간 확산을 유도하여 해양 대기환경을 개선한다는 것. 선령 25년 이상인 노후 관공선 29척은 선박별 규모와 운항 특성 등을 고려해 LNG 추진선, 전기추진선 및 하이브리드선 등으로 대체 건조하고, 선령이 낮은 관공선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 부착 등을 통해 친환경 선박으로 개조한다. 관공선의 친환경 전환을 마중물로 해 국제・연안선박 등 민간선박의 친환경 전환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향후 예산확보 등을 추진하고 ‘친환경 선박 촉진 전략’을 수립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관공선의 친환경 선박 대체건조 기준인 선령 2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외・내항 화물선 및 국제・연안 여객선 중 친환경 전환이 필요한 선박은 약 1,008척으로 추정된다. 앞서 15일 해수부는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친환경 관공선 전환을 위한 기술전략 포럼’도 열었다.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된 ‘친환경 선박법’에 따라,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분야에서 관공선을 신조하는 경우에는 친환경선박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기관은 친환경선박 관련 기술이나 경험이 부족해 친환경선박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소속 관공선 140척을 모두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2030 친환경 관공선 전환 계획’을 지난해 10월 수립‧발표한 바 있다. 지난 2월 7일에는 ‘친환경 관공선 전환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4월부터 선박검사, 기관·기술, 선체, 전기, 선박설계 등 5개 분야별 전문가 60여명으로 ‘친환경 관공선 전환 기술자문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올해 해수부는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면서 2021년 발주 예정인 노후 관공선 6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조기 발주하기위해 31억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하기도 했다. 이로써 올해 해수부가 편성한 관공선 친환경선박 예산은 총 11척에 이른다. 내년에도 7척의 친환경선박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며, 추경예산이 편성될 경우 친환경선박 규모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부의 관계자는 "이번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한 2025년까지 관공선 109척을 LNG 등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은 2030년까지 관공선 140척을 모두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획과 같은 것"이라며 "올해부터 관공선 신조시 친환경선박이 의무화됨에 따라 경험이 부족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각종 친환경 기술을 소개하고 관공선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2만톤급 LNG 선박을 기준으로 할때 친환경 선박은 친환경 차량(수소자동차)에 비해 재정투입 대비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약 105배(친환경 선박 8.39㎏/1천만원 ↔ 친환경 차량 0.08㎏/1천만원)에 이른다는 설명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의 자연적 기능을 회복하고, 해양공간을 활용한 저탄소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갯벌 복원 및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사업 등도 추진한다. 해저공간을 활용해 온실가스(CO2)를 감축하기 위해 2021~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와 공동으로 CCUS 통합 실증 및 상용화 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해저 CO2 저장 상용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대규모 저장소 확보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주요 항만에 LNG 벙커링, 수리조선소 등을 도입해 항만서비스 기능을 다변화하고, 인입철도, 항만배후 도로망 등의 교통인프라도 확충한다. 특히 전국 5대 권역(동남권・서남권・서해권・동해권・제주권)에 대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전략을 마련해 국가 항만 경쟁력을 혁신할 계획이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www.energy-news.co.kr)
|